인구감소 심각 지역 1위 경북 2위 경남 3위 부산
지난해 광역 시도 중 인구가 가장 많이 자연감소한 지역은 경북(1만 4900명)이었다. 1만 300명의 출생아가 태어나는 동안 2만 5300명이 사망했다. 2위는 1만 3800명이 감소한 경남으로, 1만 3100명이 태어났고 2만 6800명이 사망했다.
부산도 자연감소했다. 부산은 출생아가 1만 3100명이고 사망자가 2만 6800명이 사망해 자연감소가 1만 3700명에 달해 전국 3위에 이르렀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82/0001314230
출산율이 약간 상승했지만
아직 0.7명대 입니다.
한국의 미래가 매우 어둡다는 통계는
한국은행, OECD 등 다양한 기관에서
확인할수 있습니다.
OECD는 한국의 출산율이 지금 수준을 유지한다면 향후 60년 동안 한국 인구가 절반으로 감소하고, 2082년에는 전체 인구의 약 58%가 65세 이상 노인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아울러 이 노인 부양 비율(20~64세 인구 대비 65세 이상 인구)은 현재 약 28%에서 155%로 급증할 것으로 예측했다.
OECD는 한국의 출산율이 낮은 이유로 높은 사교육비 지출을 꼽았다. OECD는 "한국의 교육열은 세계적으로 유명하며 경제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하지만 과도한 측면이 있다"며 "많은 한국 학부모가 소득의 상당 부분을 사교육에 할애하고 있다. 자녀가 많을수록 더 많은 소득이 필요하므로 출산율이 최저치를 기록하게 된 것"이라고 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03/0013107255
"한국 저출산에 60년 뒤 인구 반토막"…OECD 경고
홍주석 인턴 기자 = 한국의 저출산 문제가 지속되면 향후 60년 동안 인구가 절반으로 줄고 65세 이상 노인 인구가 전체의 과반을 차지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5일(현지시각) 경제협력개발기구
n.news.naver.com
특히나 경북, 경남, 부산의 인구감소가 심각한 수준입니다.
자연출생보다 인구유출, 자연사망이 많아서
시간이 지나면 인구가 더 많이 줄어들 확률이
높습니다.
왜냐하면 경북, 경남, 부산은
65세 이상 고령자의 인구 비율이 높은 지역이기
때문입니다..
참 심각하네요....

인구감소지역
인구감소율
인구감소지역 취득세
인구감소 시대의 공공시설개혁
인구감소디자인
인구감소가 불러올 재앙
인구감소시대 도시 만들기와 공유경제
인구감소시대의 도시계획 (반양장)
인구감소와 지방소멸
인구감소위기대응을위한생활권활성화방안
출산일계산기
출산율
출산휴가
출산선물
출산지원금
출산예정일
출산축하메세지
출산
출산휴가 급여
출산가방
#출산율 #경북인구 #경남인구 #부산인구 #경북인구감소 #경남인구감소 #부산인구감소